저는 현재 원형탈모로 피부과에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. 벌써 주사를 맞은지 몇 주가 지났는데도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지 않아 고민입니다. 원형탈모에도 모발이식이 가능한가요?
원형탈모증은 동전모양의 원형의 탈모반 (탈모부위)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보통 별다른 증상 없이 직경 1~5cm로 경계가 명확한 동전모양의 탈모반이 두피에 발생합니다. 현미경으로 원형탈모 부위의 조직을 관찰해 보면 모낭주위에 T형 림프구와 같은 염증세포들이 모여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. 이 T형 림프구는 우리 몸을 보호해주는 면역반응에 중요한 세포로, 쉽게 말하면 외부의 침입자에 대항하여 몸을 지켜주는 세포들 입니다. 그런데 원형탈모증에서는 이런 세포들이 자신의 모낭 주위에 모여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어, 자신의 모낭에 대항하여 자신의 T형 림프구들이 공격을 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간주해 볼 수 있겠습니다.
이렇게 모낭 주위에 자가면역반응이 활성화되면 모낭은 파괴되지 않지만, 모발의 성장 주기가 성장기에서 휴지기로 갑자기 변환되면서 모발은 탈락되게 됩니다. 그러나 모낭의 영구적인 파괴는 일어나지는 않습니다. 이 점이 모낭 자체의 퇴화를 보이는 남성형 탈모와는 다른 점이죠.
원형탈모증의 치료는 모낭 주위의 면역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주사를 주입하는 주사요법을 주로 사용하는데요, 이 주사요법을 사용하면 모낭 주위 모여있던 염증세포가 사라지고 모낭이 정상화되어 모발이 자라나게 됩니다. 다만, 원형탈모가 발생한 후 치료 받기까지의 기간이 장기화된다면 모낭 주위의 염증으로 인해 그 부위가 흉터조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. 이런 단계가 되면 염증을 가라앉히는 주사에 반응하지 않게 됩니다. 이러한 경우에는 모발 이식을 해볼 수 있으나, 흉터 조직에 모발을 이식하는 것이기에 생착율은 정상조직에 이식하는 경우보다 낮아질 수 있습니다.
'Dr.박재현의 모발Q&A > - 모발이식수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절개(FUE) 모발이식으로 최대 몇모까지 이식이 가능한가요? (0) | 2012.12.17 |
---|---|
EGF 스프레이의 효과는 무엇인가요? (0) | 2012.12.16 |
수차례에 걸쳐서 모발이식을 하게 되면 채취한 부위는 어떻게 되나요? (0) | 2012.12.15 |
선천적 M자 이마는 아니지만 약하게 탈모가 시작되어 모발이식 후 탈모진행이 급속화 되면 어떻게 되나요? (0) | 2012.12.15 |
20대와 60대 환자 모발이식 시 나이에 따라서 생착율의 차이가 나나요? (0) | 2012.12.14 |